본문 바로가기

IT 이야기

[SAP] 특별 조달 유형 / Special Procurement type

반응형

 

🔹 SAP 특수조달유형(Special Procurement Type) 정리 – 외부조달 중심

SAP에서는 자재의 조달 방식을 기본 조달유형 외에 특수조달유형(Special Procurement Type)으로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자사 생산이 아닌 조달 방식들, 즉 외부구매, 외주가공, 위탁재고, 플랜트 간 이동 등에 초점을 맞춰 설명합니다.

✅ 특수조달유형 설명표 

코드 유형 설명 활용방안 대표 예시
10 위탁재고
(Consignment)
공급업체 소유 자재를 우리 창고에 보관하고 사용 시점에만 비용 발생 재고 리스크 최소화, 장기계약 거래처 운영 시 외주용 자재, 소모품
20 외부구매
(External procurement)
일반적인 구매 방식으로 PR → PO → 입고 진행 모든 원자재, 외부부품 조달 포장재, 나사, 일반 원자재
30 외주가공
(Subcontracting)
자재를 공급업체에 보내 가공 후 완성품 수령. BOM 기반 처리 외주 생산 시, 원자재 제공과 가공비 분리 도금, 열처리 외주
40 타 플랜트로부터 조달 다른 플랜트에서 자재를 이관받는 구조 (STO 사용) 본사-지사 간 자재 이동, 생산/수요 분리 본사 생산 → 지사 수령
45 플랜트 → MRP Area 이관 플랜트 재고를 특정 저장위치(MRP Area)로 옮겨 사용하는 방식 생산/보관 구역 분리, SLOC 단위 MRP 시 생산창고 → 외주창고 간 이관
70 대체 플랜트 출고 현재 플랜트가 아닌 다른 플랜트의 재고를 차감해 조달 통합 물류 관리, 재고 집중 플랜트 운영 시 물류 허브 출고 처리
80 대체 플랜트 생산 실제 생산은 다른 플랜트에서 수행, 현재 플랜트는 수령만 함 생산능력 집중화, 다공장 운영 시 A공장 생산 → B공장 사용

📌 실무 활용 포인트

  • 설정 위치: 자재 마스터(MM02)의 MRP2 뷰 → Special Procurement Type (SOBSL)
  • 조달유형(Procurement Type)과 조합해서 사용 (예: F + 30 → 외주가공)
  • 플랜트 구조에 따라 적용 여부가 달라짐. 플랜트가 1개뿐이면 40/70/80은 제외 가능

💡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STO(Stock Transport Order)를 사용하지 않으면 어떤 코드를 제외할 수 있나요?
40, 45, 70, 80은 모두 플랜트 간 조달/이동을 전제로 하므로, 단일 플랜트 또는 STO 미사용 시 제외 가능합니다.

Q. SOBSL을 자재 마스터에 입력하지 않으면?
MRP 수행 시 기본 조달유형만 따르게 되며, 특수한 조달 방식은 적용되지 않습니다.

✅ 마무리 정리

  • 유지 추천 코드: 10, 20, 30
  • 조건부 유지: 40, 45, 70, 80 (다플랜트/STO 시에만)

SAP 조달 전략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면, 단순 구매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
조달유형 + 특수조달유형을 조합해 자재 흐름을 정교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 

 

#SAP조달유형 #특수조달 #SAPMM #SAPMRP #SAP자재관리 #SAP물류 #외부조달 #외주가공 #STO #SAP블로그

 

반응형

'IT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SAP] System Field (SY-) 정리  (1) 2025.07.23
[SAP] TCODE, TABLE 검색 (CBO)  (0) 2025.07.10
[SAP] 구성형자재(Configurable) 정리  (2) 2025.07.09
[SAP] SCM MM&PP&SD 흐름도  (1) 2025.07.04
[SAP] ABAP Dictionary : View  (2) 2025.07.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