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IT 이야기

[IT] SQL - 데이터베이스 관리단계

반응형

1. 요구 사항 분석 및 설계

  1. 요구 사항 수집:
    • 데이터베이스에서 처리할 데이터와 필요한 기능에 대한 요구 사항을 수집합니다. 이 단계에서는 비즈니스 요구 사항을 이해하고 데이터를 어떻게 구조화할지 계획합니다.
  2. 논리적 설계:
    • 데이터 모델을 설계합니다. 엔터티-관계 다이어그램(ERD)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관계를 정의합니다. 이 단계에서는 데이터의 속성과 관계를 정의합니다.
  3. 물리적 설계:
    • 논리적 설계를 바탕으로 실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정의합니다. 테이블의 구조, 인덱스, 제약 조건 등을 설계합니다.

2. 데이터베이스 구축

  1. 데이터베이스 생성:
    • SQL 명령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합니다. 
    •  
  2. 테이블 생성:
    • 데이터베이스 내에 필요한 테이블을 생성합니다. 각 테이블의 컬럼, 데이터 타입, 제약 조건 등을 정의합니다.
       
  3. 제약 조건 및 인덱스 설정:
    •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제약 조건(예: PRIMARY KEY, FOREIGN KEY, UNIQUE)을 설정하고, 쿼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덱스를 추가합니다.
       

3. 데이터 삽입 및 관리

  1. 데이터 삽입:
    •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합니다.
       
  2. 데이터 수정:
    •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를 수정합니다.
       
  3. 데이터 삭제:
    •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삭제합니다.
       

4. 데이터 쿼리 및 분석

  1. 데이터 조회:
    • SQL 쿼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합니다. SELECT 문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검색하고 필터링합니다.
       
  2. 데이터 집계 및 분석:
    • 집계 함수(예: COUNT, SUM, AVG)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합니다.
       
  3. 조인 및 복잡한 쿼리:
    • 여러 테이블을 조인하여 복잡한 쿼리를 작성합니다.
       

5. 데이터베이스 유지보수 및 성능 최적화

  1. 백업 및 복원:
    • 데이터베이스를 정기적으로 백업하고, 필요 시 복원합니다.
  2. 성능 모니터링 및 최적화:
    • 쿼리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인덱스 최적화, 쿼리 리팩토링 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개선합니다.
  3. 보안 및 권한 관리:
    • 데이터베이스의 보안을 유지하고, 사용자 권한을 적절하게 관리합니다.
       
  4. 데이터 정리 및 유지:
    • 불필요한 데이터나 오래된 데이터를 정리하고,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유지합니다.
반응형